저번에 작성하였던 1부 CUDA 설치방법에 이어서 2부를 작성하겠습니다.
1부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
2010/04/21 - [컴퓨터활용] - NVIDA CUDA 설치방법
우선 아래 그림처럼 도구-옵션-텍스트편집기-파일 확장명에 cu와 cuh를 추가해줍니다.
그 다음에 아래처럼 도구-옵션-프로젝트 및 솔루션-VC++ 디렉터리의 참조파일 부분에 CUDA폴더의 include와
SDK의 include폴더를 추가해줍니다.
그다음에는 라이브러리 부분에 CUDA폴더와 SDK폴더의 lib폴더를 추가해줍니다.
지금부터는
.cu파일을 열어보면 int float #include 등에 상관없이 모두 검정색 글씨로 되어있는데
이걸 일반C++파일을 열었을 때처럼 파란색/갈색으로 하이라이팅 하는 법입니다.
아래 사진처럼 SDK-C--doc-syntax_highlighting-visual_studio_8 안쪽에 있는 usertype.dat를
비주얼스튜디오가 설치된 폴더의 Common7-IDE에 복사합니다. (비주얼스튜디오버전에 맞는 폴더를 찾아가시면됩니다.)
설치후에 보면~~ 푸른색과 갈색?으로 하이라이팅 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~
이번에는 Visual Assist X (비주얼 어시스트 X)설정 법입니다.
Visual Assist X\AutoText\Latest\Cpp.tpl을 하나 복사해서 이름을 Cu.tpl로 바꿉니다.
시작-실행-regedit 하신다음에 HKEY_CURRENT_USER\Software\Whole Tomato\Visual Assist X\VANet7.0
(자신의 VS버전폴더를찾으시면됩니다.) 에 들어가셔서 ExtHeader와 ExtSource에 각각 .cuh와 .cu를 추가해줍니다.
비주얼 스튜디오를 다시 실행시켜보시면 우왕ㅋ굳ㅋ
이제 잡스러운 설정은 다 끝났습니다.
CUDA의 cu파일을 컴파일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하시면 사용자 지정 빌드 규칙이라는 항목이 있습니다.
이걸 클릭하신 후 새 규칙 파일을 클릭하셔서 SDK\C\Common폴더의
Cuda.rules를 선택하신 후 빌드해주시면됩니다.
이게 귀찮으실 경우 SourceForge방문하셔서 CUDA VS Wizard를 설치하시면됩니다. 찾기 귀찮으실테니 파일 첨부해드립니다.
32bit CUDA설치시에 사용하시면됩니다. (64bit OS에 32bit CUDA를 설치했을경우 포함)
이걸 설치해주시면 애초에 프로젝트 설치단계부터 사용자 빌드지정규칙이 설정된 프로젝트를 만드실 수 있습니다.
CUDA-CUDAWinApp누르셔서 생성하시면 됩니다.
'컴퓨터활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프로그래머를 위한 프로그래밍 폰트 (1) | 2011.01.17 |
---|---|
토렌트 사이트 모음 (7) | 2010.12.14 |
도메인등록 가격비교 방법 (3) | 2010.11.27 |
F9만 누르면 인터넷 마우스우클릭/복사/드래그방지 해제 YesClick 0.4.0 (15) | 2010.09.19 |
네이버 드래그, 마우스 우클릭 방지 해제 방법 (70) | 2010.06.09 |
PDF, 한글, PPT에서도 사용가능한 영한사전/중한사전/일한사전 (0) | 2010.04.21 |
NVIDA CUDA 설치방법 (0) | 2010.04.21 |
네이트온 원격제어 자동수락 프로그램 (11) | 2010.03.30 |
ATI 그래픽카드계열 쿨러속도 조절하는방법 (14) | 2009.07.23 |
HP노트북 터치패드 끄는 방법소개 (5) | 2009.06.22 |